| 
 내용 
  | 
 발생 양상 
  | 
 조치 방법 
  | 
| 
 부
  반
  응 
  | 
 림프선염 (비대) 
  | 
 목 부근이나 겨드랑이의 림프절이 정상반응의 하나로 커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. 대개 피부 밑에 분리된 몽우리로 만져집니다. 
  | 
 병변의 경과를 설명하여 환자와 보호자를 안심시킵니다.. 2차 감염에 의한 열성림프절염이 아니면 치료를 요하지 않습니다. 
  | 
| 
 국소농양 
  | 
 피하로 잘못 주사시 발생, 2차 감염시 발적과 통증이 발생 
  | 
 2차 감염시 "에리스로마이신"을 2~4주 가량 복용시키며, 연고나 항생제, INH 투약이나 수술은 필요치 않습니다. 
  | 
| 
 무통성 궤양 
  | 
 주사후 4개월 이상 궤양이 지속됩니다 
  | 
| 
 합
  병
  증 
  | 
 화 농 성  림프선염 
  | 
 접종 미숙으로 BCG를 과다하게 주입시 발생. 림프절이 3㎝이상 커지면서 화농되어 터집니다. 
  | 
 굵은 바늘로 터지기 전에 농을 배액시키고 1~2회 RFP 용액을 주입한다. 전신적인 결핵약 복용은 필요없다. 2차 감염시 처치 방법은 위의 방법과 동일합니다. 
  | 
| 
 케로이드 
  | 
 반흔이 피부위로 돌출되어 버섯과 같은 특이한 모양으로 자라, 피부색이 보라색을 띠고 표면이 팽팽하며 반질반질함. 모세혈관 확장증이 보이기도 함. 주로 유전적인 소인이 있는 개체에서 재접종시 호발합니다. 
  | 
 단순한 외과적인 수술만으로는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일상 생활에 큰 불편이 없는 한 그냥 두는 것이 원칙입니다. 
  |